학술논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Understanding of Decimals by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예슬 남진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73~8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정도를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A시의 A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수 크기 비교, 소수 개념 확인, 소수 개념 이해 정도 확인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수 크기 비교 검사에서 학생들은 대부분 부등호는 잘 나타냈지만, 일부 학생들은 그 이유를 적는 칸에 자릿수가 긴 것을 더 큰 수라고 적었다. 또한, 소수의 자리 숫자로 0을 갖는 문제에 오답률이 높았고, 그 이유를 설명하기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수 개념 확인 검사에서 학생들은 소수를 설명할 때 분수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소수를 나타내는 세 가지 모델 중 소수모형을 가장 편하게 생각했다. 소수 개념 이해 정도 확인 문항에서는 십진분수와 소수를 연결하는 문제, 자릿값 또는 소수의 자리 숫자로 0을 갖는 문제에서 오답률이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소수의 자릿값 개념과 자리 숫자로 0을 갖는 소수 개념의 강화 학습, 분수와 다른 소수 본연의 특징 학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knowledge of the decimal concepts learned from national textbooks. A test that asked students to compare decimal sizes was conducted on two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classes in A-si, Gyeonggi-do. Most students compared the decimals well; however, some students thought that the longer decimals were larger. There was also a higher incorrect answer rate when there were zeros in the decimal places, with many finding it difficult to explain the reason for this. In the decimal conceptualization tests, the students often used fractions to describe the decimals, and of the three representative decimal models, they found the base ten model to be the most comfortable. In the question that tested their understanding of decimal concepts, the incorrect answer rate was high for problems that connected fractions to decimals, asked about digit values, and when there were zeros in the decimal places. It was concluded that educational reinforcement was needed so that student could better understand decimal digit values, decimal numbers with zero as a digit, and the differences between fractions and decima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 만 2세 슬기반 영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 지원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탐색
-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 생존수영교육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온라인용 수학 교구로서의 가변 탱그램과 가변 스핑크스퍼즐 개발
-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