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이용수 103
- 영문명
- Instructional Supervision Experiences of No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유수민 김혜련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31~4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수업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51명의 저경력(교직경력 5년 이하) 초등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가 경험한 영어 수업장학은 동료장학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적으로 2가지의 장학을 경험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동료장학에 대한 효과는 영어교과 전문성을 지닌 동료 교사의 유무와 관련이 있었다. 영어교과 전문성을 가진 교사와 함께 장학을 진행한 저경력 교사는 동료장학이 효과적이라 대답하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동료장학이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대답하였다. 둘째, 영어 수업장학의 사전, 사후협의회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교사와 부정정적으로 응답한 교사는 각각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협의회가 효과적이지 않았던 주요 원인은 형식적인 협의회 운영과 영어교과 전문성이 부족한 장학담당자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 대상자들이 영어 수업장학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영어교과의 전문성을 갖춘 장학담당자였고, 영어 수업장학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실질적인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향후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저경력 교사 대상 영어과 수업장학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nstructional supervision experiences of no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dentified the associated problems, and developed proposals for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supervision. Fifty-on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completed a survey, after whi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It was found that on average, the survey respondents had experienced two supervision types, with peer supervision being the most common. Supervision was only perceived to be effective when the supervisors had English subject expertise. Approximately half the teachers had negative impress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e- and post-observation classroom supervision conferences, primarily because these conferences were seen to be mere formalities, especially when the supervisor lacked English subject knowledge. The survey respondents claim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supervision was to have a supervisor that had expertise in English subjects, and also hoped that the instructional supervision could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novice English teacher instructional supervision are giv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 만 2세 슬기반 영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 지원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탐색
-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 생존수영교육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온라인용 수학 교구로서의 가변 탱그램과 가변 스핑크스퍼즐 개발
-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