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이용수 59
- 영문명
-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for Non-normative Sonata Works: Based on a Sonata Analysis of Liszt’s Sonata in B Minor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유미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247~2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 이론 분야에서 제안된 소나타 형식의 분석 방법론들은 대부분 고전 시대 소나타를 모델로 하여 고안되어 왔는데, 이는 소나타 장르가 최고의 정점에 이르고 그 전형적인 모습이 확립되었던 것이 18세기에 이루어진 것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중·후기 낭만시대에 이르며 고전적 전통 화성 구문론이 확장되는 현상과 맞물려 소나타 형식의 모습에서도 고전 소나타의 전형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소나타 형식의 분석 방법론만으로는 19세기에 나타난 비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비전형성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적절한 구조를 탐구하기 위해 추가적인 분석 체계가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분석 체계는 마이어(Leonard Meyer)의 2차적 매개 변수(secondary parameter)로, 상대적이고 통계적인 음악적 요소들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비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의 모호한 구조를 구체화 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1989). 2차적 매개변수를 통한 비전형적인 소나타 분석의 실례로 본 논문이 채택한 소나타 작품은 리스트의 《B단조 소나타》(Sonata in B Minor, 1853)이다. 리스트의 《B단조 소나타》는 19세기 중반 이후의 소나타 중에서도 압도적인 길이와 의도적으로 종결을 회피하는 화성진행의 혁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곡이다. 《B단조 소나타》의 비전형성을 드러내기 위한 분석 방법론으로 헤포코스키(James Hepokoski)와 달시(Warren Darcy)의 소나타 이론을 적용하는 1단계 분석, 그리고 비전형성으로 인한 모호한 경계를 밝혀내기 위해 2차적 매개 변수가 적용된 2단계 분석의 과정이 진행된다.
영문 초록
Most of the analytical methodologies for sonata form are basically designed for the sonata works in the Classical period, since the sonata form had been established in the late-eighteenth century. However, composers in the nineteenth century started to go beyond traditional tonal syntax and structure, thereby avoiding norms of the Classical sonata form deliberately. Consequently, analytical methodologies widely accepted for sonata forms are insufficient for non-normative sonata works, and an additional methodological concept is necessary for those works. This paper suggests Leonard Meyer’s concept, secondary parameters, as an additional analytical criterion. According to him, the secondary parameters are statistical, involving articulation, tempo, texture, virtuosity, and dynamics (Meyer 1989, 209). This paper argues indecisive sonata’s boundary will be evident by tracing changes in the secondary parameters in sonata works. I chose Liszt’s Sonata in B mino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non-normative sonata form because the sonata has continuously drawn scholarly attention in terms of disputable formal structures. A two-step analysis will be utilized to determine more convincing structural boundaries for Liszt's sonata: the first step applies Hepokoski's and Darcy's sonata theory and the conventional features of the sonata structure to the analysis, and the second step examines whether there are apparent changes of the secondary parameters for the potential boundar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리스트의 《B단조 소나타》의 형식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