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2
- 영문명
- Influ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on Music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윤문정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25~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 그리고 음악 사교육 경험이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 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432명이 연구대상자였으며, 설문지를 활용하여 얻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교수효능감과 음악실기효능감, 음악 사교육 경험은 모두 유의미하게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이 높고 음악 사교육 경험이 있으면 음악교수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일반교수효능감을 함께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예비초등교사가 초등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실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기 수업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 private lesson affects music teaching efficacy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3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stud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both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music teaching efficacy.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music private education also affects the music teaching efficacy, the longer the period, the higher the music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music teaching efficac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acy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lso, it is proposed that practical and systematical performance classes necessary for music performance efficacy improvement at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