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이용수 188
- 영문명
- Music Education of Feeling for the Construction of Emo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조성기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125~1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많은 연구에서 감정은 지식처럼 뇌의 의식적인 인지 작용을 통해 개념으로서 구성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음악교육에서는 감정과 관련하여 일찍이 느낌의 교육이 강조되어 왔는데, 느낌은 감정의 종류 중 하나이며 감정을 구성하는 기초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음악을 대상으로 감정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음악교육에서 이러한 느낌이 어떻게 다루어져야 하는지 그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감정과 감정의 구성, 느낌과 그 표현에 대하여 다양한 문헌을 고찰해 보았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방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느낌을 크게 정동적 느낌, 개념적 느낌, 지성적 느낌으로 나누고, 개념적 느낌은 다시 감각적 개념, 음악적 개념, 감정적 개념, 명제적 개념으로 분류하였다. 감정 구성을 위한 느낌의 음악교육을 위해 우선 느낌의 자유로운 표현활동을 제안하였고, 분류한 각 느낌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그 표현하는 방법 등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에서 이러한 표현 활동들은 학습자가 대상인 음악에 대하여 다양한 느낌과 음악적 요소들을 통찰하고, 감정을 구성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Many studies have revealed that emotions, like knowledge, are constructed as concepts through conscious cognitive processes in the brain. In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 of feeling has been emphasized early on, and feeling is one of the types of emotions and is known as a basic element that composes emo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o deal with these feelings in music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nstruct emotions in music. To this end, I reviewed various literature on emotions and construction of emotions, feelings and their expressions, and based on this, I studied the music education method of feeling that construct emo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eelings were largely divided into affective feelings, conceptual feelings, and intellectual feelings, and conceptual feeling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sensory concepts, musical concepts, emotional concepts, and propositional concepts. For the music education of feeling for the construction of emotion, first of all, free expression activities of feeling were proposed, and a detailed explanation of each classified feeling and how to express it were presented along with examples. In music education, these expressive activities are expected to be a very effective way for learners to gain insight into various feelings and musical elements of music, and to construct emo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감정 구성을 위한 느낌의 음악교육 방법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