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이용수 292
- 영문명
- Research Study of Thesis Writing by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ocused on Music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University in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주성희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103~1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로서 보다 개선된 학위논문 관련 운영방침을 수립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대학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 학위논문 작성자 23명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FGI)및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원생들은 주로 자발적 동기에서 학문적인 성취 및 향후 커리어를 위해 학위논문을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문작성법/연구방법론 교과 수강과 관련한 조사에서는 수업의 내용 및 실용성 측면에서 비교적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원생들은 지도교수가 논문 작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1:1 개별지도 방식 및 지도교수와의 소통 측면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논문작성 과정에서 원생들이 경험한 가장 큰 어려움은 막막함, 자신감 하락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었으며 작성의 실제에서는 ‘연구주제 선정’을 가장 큰 난제로 꼽았다. 향후 교육대학원 원생들의 입학 목적, 특성 및 심리적 측면 등을 고려한 논문 지도와 논문 교과의 설계, 운영이 필요하며 대학 당국은 학위논문과 관련된 기타 행정 서비스 및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of thesis writing by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conducted aiming to establish a more improved thesis-related operational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survey with 23 music education maj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who wrote a the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 students wrote the thesis to help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from voluntary motivation. Second, in the curriculum, their satisfaction with taking the thesis writing guide/study methodology was at a relatively low level. Third, while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academic advisers had a great impact on thesis writing, they had a positive experience in terms of 1:1 individual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academic advisers. Fourth, the biggest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in the thesis writing process were psychological aspects, like not knowing what to do and the loss of self-confidence, and they picked ‘the selection of a research topic’ as the biggest challenge in the actual writing. It will be necessary to operate and guide the thesis subjects, considering the purpose,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university authorities should be interested in other administrative services and management concerning the thesis to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