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이용수 242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Music TPACK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정진원 이수진 오지향 정재은 최미영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음악교과 관련 테크놀로지 지식의 중요성 인식에 기반을 두어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교수 역량 함양 방안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선한 음악과 TPACK 설문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전국지역 8개 교육대학교의 음악심화전공 3-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음악 관련 테크놀로지보다 일반적인 테크놀로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음악과의 TPACK 역량 수준은 높지 않게 나타났다. 예비초등교사들의 TPACK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년과 현장실습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예비초등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경험에 따른 TPACK의 차이는 일반 테크놀로지 경험이든 음악 관련 테크놀로지 경험이든 테크놀로지 내용지식(TCK)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해 본 음악 테크놀로지 종류에 따라 TPACK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에게 필요한 테크놀로지 관련 음악 교수 역량 지식 요소에 따른 구체화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음악교과의 관점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 TPACK의 인식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균형있는 역량 개발이 지원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TPACK 역량이 실질적인 음악교수 전문성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교육의 현장에 적용하는 교수 경험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music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usic subject-related technology knowled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study, an improved music and TPACK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24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3rd and 4th years of advanced music studies at 8 universities nationwide. The observed result was that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general technology more than music-related technology, and the level of TPACK competency in music was not high. The difference in TPACK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gender,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ing teachers by year in school and field practice experience. As for the difference in TPACK according to technology experienc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chnology content knowledge (TCK)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when teachers had general technology experience or music-related technology experience. Points of discu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technology-related music teaching competency knowledge necessary for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as a subject,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check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sic TPACK. Finally, in order to clearly reveal the TPACK,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the combination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bilities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