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이용수 73
- 영문명
- Practice aspects of music education among Koreans in 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양종모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181~2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을 분석하여,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의 음악적 동질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북한, 중국, 일본의 한민족 학교 음악교육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의 초등학교, 북한의 소학교, 중국의 조선족 학교, 일본의 조총련 학교 등에 적용되는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관련 연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리듬, 가락, 화음, 형식, 음색, 셈여림, 빠르기 등 7가지 요소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아시아의 한민족은 학교 교육에서 모두 우리의 민족음악을 지도하고 있다. 둘째, 동아시아 한민족은 한민족의 음악에서만 사용하는 독특한 음악 개념을 지도하고 있다. 셋째, 동아시아 한민족 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나라에 따라 장단의 종류는 다르다. 넷째, 동아시아 한민족 중 한국이 국악 개념을 가장 많이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동일한 음악 개념들에 대한 용어가 나라마다 다르다. 동아시아의 한민족은 문화적 동질화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usical homogeneity of the Korean people who live scattered by analyzing the aspec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East Asia. To this end, Korean school music education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Japan was analyzed. Music curriculum, textbooks, and related research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in Korea, elementary schools in North Korea, Korean-Chinese schools in China, and Chochongnyeon schools in Japan were used for research data. In this study, seven factors, including rhythm, melody, harmony, form, tone, dynamics, and tempo, were compar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Koreans in East Asia teach our national music in school education. Second, East Asian Koreans teach a unique musical concept that is only used in Korean music. Third, in the music and curriculum of Korean schools in East Asia, the type of bea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ntry. Fourth, among East Asian Koreans, Korea presents the most divers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ifth, terms for the same musical concepts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The Korean people of East Asia should make efforts for cultural homogeniz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동아시아 한민족의 음악 개념 용어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