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이용수 16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ypes of reflection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39~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 교육에 대한 국가‧사회의 다양한 요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우리나라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를 통해 반영된다. 차기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10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각 교과의 내용에 맞게 반영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음악 교과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반영된 범교과 학습 주제의 현황과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범교과 학습의 개념을 정립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폈다. 둘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반영된 범교과 학습 주제별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반영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현황에서 인성 교육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경제‧금융 교육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범교과 학습 주제의 반영 유형은 크게 제재곡 반영 유형과 학습활동 반영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음악 교과서가 포함하는 다양한 악곡과 학습활동이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와 조화를 이루어 제시되어 있었다. 향후 음악 교육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구현을 위하여서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과 범위, 음악 교과 교육의 방향에 적합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 주제별로 적합한 제재곡 발굴과 학습활동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Korea, which pursues a national-level curriculum, various demands of the country and society for school education are reflected through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The next curriculu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lso requires that 10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be ref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subjects.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was established and how th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were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each subjec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was analyzed. Third, the types of reflection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personality education was the most reflected among the topic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economic and financial education was not reflected at all. The types of reflection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he type of reflection of sanctioned songs and the type of reflection of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is, various music and learning activities included in music textbooks were presented in harmony with various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order to implement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e concept and scop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hould be presented,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and follow-up studies such as finding suitable songs for each topic and developing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현황
Ⅳ.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