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이용수 155
- 영문명
- Analysis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online mus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신혜경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203~22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음악교육의 기초 연구로서 해외 온라인 관련 음악교육의 연구 동향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전문 학술지에 수록된 온라인 음악교육 관련 연구 75편을 연도와 국가, 연구 주제 및 대상, 연구 방법의 범주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온라인 관련 음악교육 연구는 2000년대 10.7%, 2010년대 41.3%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대에는 2020년부터 2022년의 3년간임에도 불구하고 48.0%를 차지하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온라인 관련 음악교육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나라는 미국으로 전체 연구의 29.3%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영국과 다국적 연구가 각각 9.3%를 차지하였다. 셋째,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온라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41.3%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이 29.3%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온라인 음악교육에서 미디어와 기술 측면을 고찰한 연구와 교사교육 연구도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 대상은 두 가지 이상의 연구 대상이 참여한 복합 대상의 비중이 28.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사가 25.3%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가 54.7%로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양적, 질적 자료를 모두 활용한 혼합 연구가 24.0%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ilot study aims to examin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online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categories of online music education studies published in professional journals were analyzed: year of publication, author's country, research topic, subject, and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75 studies on online music education published showed a steady increase of 10.7% in the 2000's and 41.3% in the 2010's, followed by a rapid increase during the 2020's. Papers published from 2020-2022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48%, of the total articles. Second, research on online music education is most active in the United States, accounting for 29.3% of the total research. Next, British and multinational studies accounted for 9.3% each. Third, the most frequently examined topic w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41.3%, followed by perceptions and experience of online education, 29.3%. Studies on media and technology also accounted for 16%, and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accounted for 13.3%.ᅠ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students, teachers, professional musicians, and adults of various ages and voca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i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 combination among the groups was the highest (28%), followed by teachers at 25.3%. Fifth, qual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the majority, 54.7%, followed by mixed method, 24%.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온라인 교육 연구의 동향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