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이용수 320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은아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4호, 145~1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주요 내용을 고찰하고, 포스트휴먼 시대 교육 현상의 변화와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을 살펴본 후, 음악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최근 학계와 사회의 조명을 받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은 혁신적인 기술의 진보로 인간 향상을 추구하는 측면과 함께 변화된 조건과 환경에서 인간이 어떻게 존재해야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다루는 담론이다. 이와 같은 포스트 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본고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응교육과 상호의존 관계성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도출된 포스트휴먼 시대 음악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 발달로 변화된 음악교육 환경과 조건을 인식하고 발전된 기술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는 동시에, 능동적·비판적으로 수용한다. 둘째, 음악 활동을 통한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기존의 오프라인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온라인 활동과의 연계를 통해 범위를 확장해 나가도록 한다. 셋째, 음악교육의 본질적 활동인 심미적 음악 경험을 통해 감수성과 공감 능력을 회복하고 함양하는 데 더욱 힘써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o this end, the issues of Posthumanism discourse were first considered, and after examining the changes in educational phenomena in the Posthuman era and the pedagogical acceptance of Posthumanism,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was suggested. Posthumanism, which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by academia and society, is a discourse that deals with the question of how humans should exist in changed conditions and environments, along with the aspect of pursuing human enhancement due to the advancement of innovative technology. The pedagogical acceptance of Posthumanism appears in various aspects, and this study focuses 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education.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music education that have chan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ake an open attitude toward the advanced technology, and accept it actively and critically. Second, while strengthening existing offline activities to promote cooperation through music activities, expand the scope through linkage with online activities. Third,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ver and cultivate sensitivity and empath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which is an essential activity of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Ⅲ.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육
Ⅳ.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 음악교육의 방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