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이용수 41

영문명
Exploring High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redictor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국준봉 이재덕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315~34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의 예측요인을 다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분석(2012년도 4주기 고등학교) 자료이다. 해당 자료는 SPSS 21.0과 HLM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 수준 배경변인 중 교사 직위는 교사 직무만족도를 정적으로 예측했고, 교사 교직경력, 담임여부는 부적으로 예측했다. 즉 부장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비담임 교사일수록 교사 직무만족도가 올라갔다. 둘째, 교사 수준 과정변인인 교사 사기열의, 교사 효능감,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 리더십, 수업공개변화, 동료교사 간 의사소통은 교사 직무만족도의 예측요인이었다. 즉 교사 사기열의와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장이 리더십을 잘 발휘한다고 교사가 인식할수록, 수업공개 후 변화정도가 클수록, 동료교사 간 의사소통이 활발할수록 교사 직무만족도가 올라갔다. 셋째, 학교 수준 배경변인 중 학교장 교육전문직경험여부의 부적 효과는 주목할 만하다. 즉 교사협력과 학교교육목표의 적합성이 같은 학교에서는 교육전문직경험을 한 학교장의 학교가 교사 직무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넷째, 학교 수준 과정변인 중 교사협력, 학교교육목표의 적합성은 교사 직무만족도의 주요 예측요인이었다. 교사들이 가치와 신념을 공유하고, 학교교육활동과 업무를 서로가 도와주는 학교일수록, 학교교육목표에 학교 교육주체의 요구가 반영되고, 그 목표가 학교가 당면한 실제적인 문제와 관련된 학교일수록 교사 직무만족도가 올라간다. 다섯째,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 리더십(개별 교사의 인식 점수)은 교사 직무만족도를 예측하였지만, 단위학교가 인식한 학교장 리더십(학교 평균 점수)은 교사 직무만족도를 예측하지 못했다. 연구결과에 터해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high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multiple layers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data analyzed are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school education status and level analysis (4th cycle high school in 20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HLM 8.2 program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at the teacher level, the teacher position positively predi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teaching career and whether the homeroom teacher was or not negatively predi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head teacher, the shorter the teaching career, and the non-homeroom teacher,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rocess variables at the teacher level such as teacher morale, teacher efficacy, principal leadership recognized by teachers, change in class openings, and communication among fellow teachers were predictor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acher morale and teacher efficacy, the higher the teacher's perception that the principal demonstrates leadership, the greater the degree of change after class openings, and the more active communication among fellow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at the school level, the negative effect of whether or not the school principal has experience as a school inspector is significant. In schools where the teacher cooperation and suitability of school educational goals were the same, the level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lower in schools with principal who had school inspector experience. Fourth, among the process variables at the school level, teacher cooperation and suitability of school educational goals were major predictor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ncreases in schools where teachers help each other with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and tasks, share values and beliefs, and cooperate well, and schools whose educational goals reflect the needs of school educational subjects and are related to practical problems faced by schools. Fifth, the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individual teacher's perception score) predi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but the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unit schools (school average score) did not predict teacher’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igh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국준봉,이재덕. (2022).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9 (4), 315-341

MLA

국준봉,이재덕.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9.4(2022): 315-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