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이용수 109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ining Contents, Readiness for Class Use, and Teaching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조 이호준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145~17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원양성교육 단계에서 경험한 교육내용이 교사의 교수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교육 단계의 교육내용과 수업 활용 준비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가 인식한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사의 교수활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적 접근을 취하였다. 분석 방법은 TALIS 2018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초·중등 저경력 교사 데이터를 가지고 관찰하기 어려운 시간 불변의 학교고정효과를 통제하는 가변수최소자승법에 터한 회귀분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저경력 교사가 교원양성 교육과정 단계에서 학습하였다고 인식한 교육내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양성단계에서 배웠던 교육내용이 교사의 수업 활용 준비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는데, 이런 결과는 교과내용, 교육방법, 일반교육학 등 모든 영역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수업 활용 준비도는 부분적으로 교사의 교수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로써 교원양성단계에서 학습한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 교사의 교수활동이 일정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적 역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원양성교육에서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교육내용을 제공하는 것이 저경력 교사의 교수활동을 의미있게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ining contents and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edness of learning experience in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e readiness perceived by teachers in using the contents while teaching and th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For the analysis, we employed the dummy variables least-squares method to control the unobserved time-invariant school fixed effect with the data of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ow-career teachers provided by the third cycle of TAL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an unignorable variation in learning experiences of prospectiv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cently emphasized content, such as multicultural/multilingual education,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skills, ICT-based teaching, student counseling, and class management. Next, the teacher training cont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adiness. This teachers’ class readines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class pract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acher's class practice. This study conclusivel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o prospectiv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