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이용수 1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 Practicum Instructing Experience of the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봉선 박수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61~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직 입문과 적응의 단계에 있는 저경력교사가 교육실습 지도를 담당하게 되면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될까? 이 연구는 교육실습 대용부설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을 분석하고, 교육실습과 교사 발달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용부설초등학교에 발령받아 1급 정교사 취득 후 교육실습 지도 경험을 한 저경력교사(교육경력 5년 미만)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교육실습 지도의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경력교사들은 교육실습 지도교사 자격을 갖추기 위해 학교 차원의 연수, 개인 차원의 자발적인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지도 경험을 통해 교사공동체, 교생과의 소통과 협력으로 저경력교사들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셋째, 교육실습을 통해 저경력교사들은 전문성 개발에 자극을 받았으며 그 배경에는 대용부설초등학교 안에서의 교사공동체, 협력적 문화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과 교사 발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What would be the experience of low-career teachers who are at the beginning of their teaching career an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f they participate in teaching practicum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 practicum instruction experience of the low-career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educational practice school to discover implications on teaching practicum instru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three low-career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um instruction experiences after their official assignment as Grade 1 teachers in the said elementary school (all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interviewed to analyze their experience with teaching practicum instruction and their meaning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making voluntary efforts including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programs the school provided and other personal endeavors to be qualified as teaching practicum instructors. Second, wit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the low-career teachers improved, with the cooperation extended from teachers’ community and trainees. Third, the low-career teachers were motivat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expertise through teaching practicum, which was supported by the teachers’ community and a culture of cooperation in their school. The researcher discussed implications on teaching practicum and teacher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