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이용수 80
- 영문명
-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 I Want To Be’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조덕주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예비교사들이 지향하는 교사상 기술 내용을 통해 이들의 교사상 변화 내용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2010년대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총 163개의 학생들의 글쓰기를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토대로 추출한 준거에 의한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준거에 따른 교사상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교사상은 학생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고, 교사 자신의 인격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며, 이어서 수업 역량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변화에 대비한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전기와 후기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전기와 후기 교사상 기술에서 사용하는 단어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미연결망도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군집을 이루는 하위 단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한 교사의 소양 배양, 보다 다양하고 참신한 교사상의 배양, 예비교사들의 세대 변화에 대응한 교육과정의 제공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teacher image of prospective teachers from 2010 to 2020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teacher image,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of 163 journal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early and late 2010s, and analysis based on the criteria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 image according to the criteria, As for the teacher image of prospective teachers,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student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teacher's own personality, followed by teaching competency. Interest in teachers’ role in preparation for social change was found to be very low. In the analysis based on criteria,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nd late 2010s. As a result of language network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ords used in the early and late teacher image descrip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mantic network,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sub-words constituting the clust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mplications such as cultivating teachers' competency for the future society, cultivating a more diverse and novel teacher image, and providing a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al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