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은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201~2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그림책의 가치와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고, 재구성되는지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전남 N시의 4년제 유아교육학과 1~3학년 예비교사 98명이었다. 예비교사들의 그림책 관련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예비교사 98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 선정기준」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흥미와 발달을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그림책 관련 정보 및 태도」 측면에서는 그림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도 높았으나 그림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배우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활용의 효과」 영역에서는 그림책을 매개로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과 긍정적 효과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연구대상 중 3학년 예비교사 38명에게 그림책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한 후, 그림책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재구성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 선정 및 활용」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이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적 의미뿐 아니라 문학작품이자 예술작품으로 그림책의 가치를 이해하고, ‘교사’의 관점에서 그림책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림책을 즐기면서 다양하게 감상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림책 관련 경험」 측면에서 이전에는 유아들이 보는 쉽고, 그림이 위주가 되는 책 정도로 인식하였으나,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어릴 적 기억과 다양한 정서를 떠올리면서 유아들과 다양한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후 그림책의 가치와 의미」 측면에서는 그림책이 유아용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넓은 견해로 그림책을 이해하고 즐기면서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를 위한 그림책 중심 활동이 글과 그림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림책 본연의 가치를 이해하며 놀이처럼 즐기는 경험을 제공함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통해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구현이 가능함을 강조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prehensive perception of picture book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plore whether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picture books are changed and reorganized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8, pre-service teachers in the 1st to 3rd grade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N City.
In order to find out the overal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lated to picture books, a survey was conducted on 98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area of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the interest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ness of children a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Second, in the area of 「information & attitude related to picture books」, it was foun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icture books, had high interest, but felt that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picture books, and wanted to learn various things about picture books. Third, in the area of 「effectiveness of using picture books,」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teach efficiently through picture books and to recognize positive effects.
In addition, 38, 3rd-grade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Picture Book Reading Program(PBRP) design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value and meaning of picture books, and then explored how their perspectives on picture books changed and reorgan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spect of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picture book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BRP, pre-service teachers could understand not only the educational meaning of picture books but also the value of picture books as literary works and artworks, and newly understand picture book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Second, in terms of 「picture book-related experience」, it was previously recognized as an easy and picture-oriented book for children, but through in the PBRP, the possibility of sharing various emotions with children has expanded. Third, in terms of 「the value and meaning of picture book after participating PBRP」, it was found that the perspective of picture books changed while understanding and enjoying picture books from a wide perspective, away from the prejudice that picture books are fo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