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이용수 85
- 영문명
- The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 Climat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유하원 김수연 장재홍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175~1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학교풍토,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전문성 개발 관련 인식 수준이 실제 부산광역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교육제도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부산교육종단연구 4차년도(2019)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교사 1,499명 및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470명의 데이터를 학교를 중심으로 매칭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학교풍토는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매개하여 학생의 학업성취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풍토는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을 매개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 및 학생의 학업성취도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전문성 개발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학교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해 교사들의 자발적인 전문성 신장 노력과 학생의 학습성취를 도모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과 행정적·제도적 지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support the education system in Busan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limate,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by matching the data of 1,499 teachers and 5,47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of the 4th year of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BELS). First, the school climate positively affect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positively impact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econd, school climat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Third,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nd improv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urt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ositively impact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systematic system that can enhance teachers'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nd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