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7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Normal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 on the Class: Focusing o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오세라 최성욱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31~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범대학교 학생들이 대면수업을 통해 어떤 수업관을 형성해 왔으며, COVID-19 시기 원격수업으로 수업관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탐색하기 위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수업관의 사실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판단중지, 현상학적 환원, 지향적 분석 등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수업이 구성주의를 지향하는 ‘활동’ 중심의 이상과 ‘입시’를 위해 ‘답이 정해진’ 현실을 추구하는 이중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에 활용되는 교과서에 대해서도 ‘절대적 진리’와 ‘상대적 진리’라는 이중적 인식을, 평가에 대해서는 ‘공정성’을 추구하지만 실제로는 ‘불공정’하다는 이중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렇게 수업에 내포된 각종 이중성을 완화하는 통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이었다. 대면수업에서는 교사와의 ‘친밀’한 ‘소통’과 ‘대화’를 통해 수업의 이중성이 완화되었다. 그러나 원격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방치’되었다고 느꼈고, 수업의 이중성이 극대화되었다.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은 수업의 현실적 측면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는데, 눈앞의 ‘입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원격수업보다 과외나 인터넷 강의, 독학 등이 더 유리하다고 느껴 학교의 필요성에 점점 의문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수업경험을 통해 어떤 수업관을 형성하게 되는지를 수업의 맥락, 수업에서 지향적 대상으로 체험된 대상으로서의 교과서, 수업과 관련된 평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들여다보았다는 점과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 형성을 위한 대안적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carried out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what kind of perspective on the class students have formed through face-to-face classes and how changed during the COVID-19 period of perspective on the class due to online classes. The study tried to reveal the factual strctures of the students' perspective on the class in the Normal Universit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such as cessation of judgment,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oriente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class as an activity with duality. Duality means that classes pursue various ideals of “activity” based on constructivism, but in reality, they are activities with “set answers”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As for textbooks, they had a dual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or 'being necessary only in school'. As for the evaluation, they pursued 'fairness', but they had a dual perception that it was actually 'unfair'.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alleviated the duality of the class. In face-to-face classes, duality was alleviated through 'intimate'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with teachers. However, in online classes, 'interaction' was 'deficient' and felt 'neglected', and the duality of the class was maximized. In online class situations, students chose reality. In order to succeed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tutoring or self-study was more advantageous than school classes. So they questioned the need for school cla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what students experience and what view they have through face-to-face classes and online classes in terms of the context of classes, textbooks, class-related evaluations,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라,최성욱. (2022).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9 (4), 31-60

MLA

오세라,최성욱.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9.4(2022): 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