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64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School Counselors’ Burnout Focused o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성은 강영신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4호, 291~3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소진과 관련된 환경 및 개인 요인들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21년까지 국내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논문 31편을 선정하여, 변인군을 환경-위험, 환경-보호, 개인-위험, 개인-보호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소진에 대한 환경-위험요인, 환경-보호요인의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 개인-위험요인의 효과크기는 큰 수준, 개인-보호요인의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경력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에 따른 차이로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 모두 개인-보호요인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았지만, 전문상담교사가 더 큰 부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척도에 따른 차이로 CBI(Counselor Burnout Inventory) 계열과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계열 모두 환경-위험요인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았지만, CBI 계열이 더 큰 정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school counselors’ burnout and their relate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ffects of moderators on these relations. For the meta-analysis, 31 studies related to school counselors’ burnout were selected from among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published by 2021. The group of variables related to school counselors’ burnout wer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risk, environmental-protection, individual-risk, and individual-protection factor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nvironmental-risk factors and environmental-protection factors on burnout showed a medium-level effect size, the individual-risk factors showed a large-level effect size, and individual-protection factors showed a medium-level effect size. As a result of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age and work experienc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and burnout scales. More specifically, for bo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the higher the personal-protection factor, the lower the burnout, but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showed a stronger negative relationship. Also, in both CBI and MBI scales, the higher the environmental-risk factor, the higher the burnout, but the CBI showed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