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이용수 118

영문명
A Review on the Application and Direction of Grounded Theory Approach in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조현근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93~32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 접근의 적용 실태를 알아보고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포함 및 제외기준에 따라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총 27종의 특수교육 관련 분야 전문학술지 게재 질적 연구 논문 중 근거이론 접근을 적용한 70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1) 논문의 기초사항, 2) 연구 주제,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분야 근거이론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연구 주제는 경험, 과정, 전략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미시적 속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성인 대상의 가족, 교사, 관련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 수집의 형태는 개별 심층 면담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자료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이 주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연구 타당도 검증은 2가지 및 3가지의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었으며, 동료검토 및 참여자 검토, 삼각검증이 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이론도출의 특징은 범주화, 패러다임, 핵심범주, 과정 분석 등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분야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을 적용한 연구수행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을 활용하여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론을 도출하고자 하는 관련 연구자들에게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n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o examine its direction. For this purpose, 70 papers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7 peer-reviewed journal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from 2002 to 2021 according to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1) the basics of the paper, 2) the research topic, 3) the research method, and 4) the research result are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grounded theory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wed an increasing trend. Second, the subject of grounded theory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as conducted centered on experience, process, and strategy, and it was found to have 'micro-attribute' characteristics. Third,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argeting adult families, teachers, and related service workers. Fourth, the form of data collection was mainl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d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was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Fifth, two and three methods were used simultaneously for research validity verification, and peer debrief, member check, and triangular verification were mainly used. Sixth,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ory derivation were presented through categorization, paradigm, core category, and process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research performance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n future special education research was discuss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meaningful data for researchers who w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and derive theorie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n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근. (2022).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통합교육연구, 17 (2), 293-328

MLA

조현근.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통합교육연구, 17.2(2022): 293-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