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이용수 242
- 영문명
- Trends and Future Task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Intervention for Supporting Non-Disabled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전상신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17~24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를 대상으로 실행된 국내 중재연구를 분석하여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2021년까지 한국연구재단 학술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관련 논문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논문 총 34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에서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연구는 1997년 처음 발표된 이래 2021년까지 꾸준히 진행되었으며 주로 상담·심리 분야와 특수교육의 학술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는 주로 집단실험연구로 이루어졌으며 참여한 비장애 형제는 학령기 아동이 가장 많았다. 셋째, 중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비장애 형제의 감정 인식과 표현, 가족애 대한 이해와 수용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중재의 효과는 정서·행동의 변화, 장애 형제 및 가족 관계 향상, 자기 이해 및 성장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비장애 형제를 위한 다양한 연구 유형과 주제로 양질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이들을 위한 연구의 양적 증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experimental studies to support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identify overall research trends in related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For this purpose, among the relate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y 2021, a total of 34 papers me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first, research on support for non-disabled siblings in Korea has been conducted steadily until 2021 since it was first announced in 1997, and was mainly conducted in the academic field of counseling/psychology an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study was mainly conducted as a group experimental study, and the number of non-disabled siblings who participated were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the most.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conducted group art therapy programs, an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content centered on art activities for psychological support of non-disabled siblings. Fourth, the effects of intervention were found to be changes in emotions and behaviors,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family, and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discussed, and it was suggested that quantitative expansion of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on non-disabled siblings as well as intervention research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장애영향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내 ‘정당한 편의’ 제공과 통합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 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