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이용수 192
- 영문명
-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ors Regarding Technology Appli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정소영 박은혜 김아영 방지연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11~14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을 알아보고, 지체장애학생의 통합 지원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지원 요구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과 대도시의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6명이었으며, Zoom을 통한 온라인 화상 포커스 그룹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면담 결과는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총 5개의 대주제와 20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현재 특수학급에서 지체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활용의 어려움,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효과와 활용 시 고려사항, 지원 요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도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지원 테크놀로지의 활용, 지체장애 학생의 선호도와 장애특성 반영, 통합학급 내 또래 및 통합교육 관련인에 대한 인식개선,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과 노하우 공유의 장 마련,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내용의 개별화교육계획 내 반영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technology utilization and the support needs when using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ix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across the South Korea. Participants took part in semi-structured online interview.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analysis revealed the five main themes: the reality of technology utilization and its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en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ffects of technology utilization, considerations and support needs for technology utilization. From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topics were discussed: technology utilization for social support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flecting features relevant to physical disability and preference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technology, raising technology awareness of peers and related people in inclusive classroom, building a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and methods of technology use, need for individual education plan reflecting technology uti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장애영향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내 ‘정당한 편의’ 제공과 통합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 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