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이용수 122
- 영문명
- A Descript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최하영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65~2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학령기 학생에게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CEC(2014)에서 제시한 집단설계연구를 위한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연구의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국내 전문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검색하였고 최종 선정된 논문은 2012년부터 2022년 6월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7편의 논문이었다. 연구참여자, 학교급, 연구장소, 중재자, 독립변인, 종속변인, 측정도구 및 연구설계를 포함한 일반적인 특성,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요소, CEC 질적 지표(2014)라는 세 가지 주제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학생은 총 59명으로 모두 지적장애학생이었다. 7편의 연구 중 5편의 연구가 초등학교 혹은 특수학교 초등부에서 이루어졌고, 대부분 중재자는 교사였다.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 등의 지원이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대부분 국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를 번안하여 내용타당도를 점검받아 활용하거나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장애학생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 결과, 7편 연구의 평균 지표충족률은 91.5%를 보여 높은 총족률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s and to identify quality level of studies using CEC(2014) quality indicators for quasi-experimental studies. 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using database based on including criteria, total 7 studies were identified between 2012 and June 2022.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participants, school level, program implementer, independent variable, consideration for program implementation, dependent variables, tools for dependent variables, sub-variable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CEC indicators(2014). Results showed that 59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studies. 5 studies were conducted in elementary level, and implementers of programs were mostly teachers. 7 studies reported instructional adaptation procedur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program implementa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not standardized tests. With CEC quality indicators, each study was reached 91.5% satisfaction rates. Based on results,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장애영향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내 ‘정당한 편의’ 제공과 통합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 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