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용수 153
- 영문명
-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articipation in Co-teaching Support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송명숙 이숙향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81~10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총 14명(7쌍)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교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자료 및 현장노트 등 다양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5개의 대주제를 도출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 이전 장애학생은 통합학급에서 위축되어 있고 교사들은 통합학급의 수업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은 협력교수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기회이며 개별적 지원으로 실행가능성을 높였다. 셋째, 교사들은 협력교수 실행 자신감 및 통합교육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넷째, 협력교수 실행에 따라 장애학생의 태도변화와 비장애학생의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 증진 등의 학생 성과를 이루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집중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행정적・제도적인 지원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학생의 성과를 논의하고,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지원방안으로 1) 일원화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현장요구를 고려한 운영, 2) 협력교수 지원을 위한 학교차원의 행정적 지원 강화, 3) 협력교수를 위한 교육정책 및 제도적 지원 강화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14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seven pairs), who participated in ‘Co-teaching Support Program to strengthen teacher’s competency for inclusive education’. For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all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Five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imidated in a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felt burdened in preparing lessons in an inclusive classroom. Second, the co-teaching support program becam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practice co-teaching, and the practicability has been increased with individu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improved self-confidence in implementing co-teaching and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co-teaching, students outcomes such as change in attitud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s were achieved. Fifth, teachers have support needs such as intensive program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utcomes of the program for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scussed and ways of supporting co-teaching implementation were proposed such as (i) conducting in consideration the necessity of a unified co-teaching support program and the needs of the field, (ii)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supports at the school level to implement co-teaching, and (iii)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implementing co-teach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장애영향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내 ‘정당한 편의’ 제공과 통합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 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