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95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that Combin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Nuri Course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장진희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45~2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의 예술경험영역이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전체 세계시민의식의 변화와 활동주제에 따른 세계시민의식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설문조사 하였다. 교육효과의 분석 결과, 전체 세계시민의식의 변화는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활동주제에 따른 세계시민의식의 변화에서도 지속가능발전 이해, 지속가능발전 실천, 자아존중감, 책임감, 개방적 사고, 문화다양성 이해, 문화다양성 실천 등 7개 영역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을 바탕으로 유아기부터 자연의 생명체를 이해하며 질서와 규칙, 다양성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숲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that fuses the world citizen education and artistic experience area of world process for sustainable society, and verify its effect. For this, we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 with survey to verify the change of world citize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nge and activity theme of world citizen consciousness for 61 children in 5 years old. As a result, the educational effect of world citizen consciousness had the significant effect in the verification of previous and posterior difference. And in the change of world citize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activity theme, we verified the change of 7 areas such as sustainable understanding, sustainable practice, self-esteem, responsibility, open thinking, understanding of cultural variety, practice of cultural variet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 this research understands the natural life with open sensitivity including the nature from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world citizen education, and proposes the practical play activity of world process connected to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learning naturally the order, rule and varie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장애영향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내 ‘정당한 편의’ 제공과 통합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 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