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이용수 65
- 영문명
- Status of Distance Learning and Perceptions, and Needs of Inclusiv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주 강옥려 이새별 구은정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93~2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통합 수준에 따른 초등통합학급 교사의 원격수업 현황과 인식 및 지원요구를 알아보았다. 2021년 통합학급을 담임했던 전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140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원격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 방법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었고, 통합학급 교사의 과반수 이상이 코로나19 관련 사항을 개별화교육계획에 포함하였으며, 보편적 학습설계를 접한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보편적 학습설계의 세 가지 원리 모두를 원격수업에 반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완전통합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는 부분통합에 비해 원격수업을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고, 만족도 역시 높았다. 그리고 통합교육이나 ICT 관련 연수를 받은 교사가 받지 않은 교사보다 원격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고, 만족도는 두 집단 모두 보통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들이 원격수업의 질적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로 한 것은 업무량 축소였고, 완전통합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는 부분통합보다 통합학급 원격수업에 관한 교사연수를 더 필요로 하였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는 원격수업 운영을 위해 관리자 및 학부모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요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distance learning, perceptions, and needs of inclusiv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140 teachers respond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al-time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was the most used. About half of the inclusive teachers included COVID-19-related matters in the IEP. Teachers with UDL experiences showed a higher rate of reflecting all three principles of UDL in distance learning than teachers who did not. Second, inclusive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fully integrated(ITSDFI) perceived distance learning as more effective than inclusive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partially integrated(ITSDPI) and satisfaction was also higher. In addition, teachers who received inclusive education or ICT training perceived that distance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eachers who did not, the satisfaction of both groups was aver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what teachers most needed was to reduce the workload. ITSDFI needed more teacher training than ITSDPI. The inclusive teachers demanded active cooperation and support of administrators and parents for distance learning.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장애영향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내 ‘정당한 편의’ 제공과 통합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 및 인식
- 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 초등통합학급 원격수업 현황과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조사
- 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지원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세계시민교육과 누리과정을 융합한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특수교육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접근의 적용과 방향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