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이용수 80

영문명
Experience of Special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ducted by Free School Year System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진 임경원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63~1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 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 현장의 구체적인 교육사례를 제시하여 향후 4차 산업혁명 교육 시도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자유학년제를 기반으로 수업을 통해 이루어진 4차 산업혁명 교육프로그램을 2년 동안 운영한 특수학교 중학교 과정의 특수교사 12명이며, 세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포커스그룹 인터뷰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면담자료, 연구자의 업무일지, 연구보고서와 같은 교육프로그램 관련 현지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23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고, 하위 범주 9개를 거쳐 최종적으로 3개의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4차 산업혁명 관련 각 프로그램(오조봇, 드론, 스마트 팜, 로봇청소기,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실질적인 문제점과 보완점을 확인하였고,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과 교사에 요구되는 근본적인 변화를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이루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으며,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혹은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직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진로와 직업교육 교과 실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방향성 확립을 위하여 후속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의 경험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operated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special schools, this study aims to find a direction for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attempts by presenting specific educational cases in the school fiel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2 special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 course of a special school that operat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classes based on the free school year system and interviewed by group. In addition, 23 semantic units were derived by analyzing local document data related to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interview data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search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in the course of operating the education program, and finally classified into three upper categories. The study confirmed the practical problems and complements of each program (Ozobot, drone, smart farm, robot vacuum cleaner,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etc.), saw the possibility that fundamental changes required for special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made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Finall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ubjects was discussed to prepare for changes in the future job paradig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follow-up research to establish a more specific dir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임경원. (2022).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통합교육연구, 17 (2), 163-192

MLA

김혜진,임경원. "자유학년제 연구학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 통합교육연구, 17.2(2022): 163-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