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이용수 54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flourish: parallel multiple mediator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현정 이은정 황해익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209~2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가 병렬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여 유아기 행복플로리시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281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 자아존중감척도, 유아 행복플로리시척도, 유아 정서지능척도, 유아 강점리터러시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PROCESS macro 4.1 model 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병렬다중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강점리터러시,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를 매개로 하여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두 매개변인의 매개효과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를 동시에 투입할 경우,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대등한 수준의 간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various ways to improve young children's flourish by verifying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parallel mediato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lourish. A total of 281 5-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parallel multiple mediator analysis using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4.1 model 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trengths literacy, and flourish. Next, the research showed that young children’s self-esteem influe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which affected their flourish.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two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wh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were simultaneously introduced alongside young children’s self-esteem, they had an equal indirect mediation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