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ildcare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flourishing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현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55~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 직무 수행과 관련된 변인인 조직문화와 보육효능감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기초를 제공하여 개인적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보육이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유형’ 도구와 ‘보육효능감’ 및 ‘PERMA-Profiler’ 척도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 프로그램으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직문화 유형과 보육효능감 모두 행복플로리시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보육효능감은 행복플로리시의 하위영역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조직문화 중 개발문화와 관계문화가 행복플로리시에 영향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해서는 보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및 교사 상담, 컨설팅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며, 조직구성원 간의 온정적이고 긍정적인 인간관계와 보육교사 개인의 능력 발휘와 성장을 지원하는 개방적인 조직문화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r flourishing of childcare teacher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thereby improving child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H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ildcare efficacy, variable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s’ job performance, was researched. A total of 198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tools included a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model, a childcare efficacy scale, and the PERMA-Profiler sca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21.0. First, it was determin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ildcare efficacy correlated highly with flourishing or development. Second, childcare 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all sub-areas of flourishing, and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influenced flourishing.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 education, teacher counseling, and consultation are needed to improve childcare efficacy, promoting childcare teachers’ flourishing. It also indicates that warm, positive human relations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an open organizational culture support the individual abilities and growth of childcar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