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122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layfulness among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전다희 김남희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87~2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상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만 5세 반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31명, 만 6세 유아 137명으로 전체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놀이성,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능력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능력, 놀이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test 결과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성의 주요 예측 변인인 의사소통 능력이 사회적 능력을 매개로 하였을 때 놀이성에 대한 설명력이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유아가 또래와 함께 상호작용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킬 기회를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자유놀이, 사회극놀이, 협동적 원게임 등 다양한 또래놀이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layfulness among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268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in Gangwon-do and Gyeongsang-do.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3-step mediat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playfuln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soci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layfulness. With the Sobel test, social competence’s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at we might enhance children’s playfulness 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