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55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natural conn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탁정화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43~1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18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SPSS window version 25.0과 PROCESS macro version 3.5.3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감사성향 및 삶의 만족도, 자연연결성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삶의 만족도, 자연연결성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Model 1번을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연결성 수준의 값이 4.14이하일 경우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감사성향이 과소사용되거나 과대사용되지 않고 중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연연결성이 조절변인으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natural conn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conducting a survey with 218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 version 25.0 and PROCESS macro version 3.5.3. First, the tendency to appreciate early childhood teachers, life satisfaction, gratitude disposition, natural connection wer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atitude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nd natural conn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using Model 1 of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 (2018). Natural connectivity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When the value of the natural connectivity level was 4.14 or less,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Natural connectivity played a role as a regulatory variable so that gratitude dispositions were not underused or overu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