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5
- 영문명
-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the Infant-Teacher play interaction on teacher sensitivity,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숙 김진욱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81~10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영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임의배치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연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 척도별 사전동질성을 t-검증(t-test)하였으며,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정된 표준보육과정으로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한 시기에 사례발표와 토론, 피드백을 활용하여 교사의 존중, 반응적, 상호호혜적인 놀이상호작용이 증진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the infant-teacher play interaction on teacher sensitivity,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 total of 50 infant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do were randomly drawn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n underwent the program. t-tests were used to test the pre-intervention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Furthermore, ANCOVA was conducted by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 as covari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eacher sensitivity,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e high applicability of the revise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in the field. To better respond to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s, latest teacher education efforts can leverage case presentation, debate, and feedbacks to enhance teachers’ respectful, responsive, and reciprocal play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