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이용수 162
- 영문명
- A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figuration of “young child”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고시문은 법률적 구속성을 가진 문서로서 유아교육 실제에 강력한 영향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적 담론으로서 작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시문에서 유아교육의 기본 전제이자 출발이라 할 수 있는 유아 존재를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1차 이후 현행 교육과정의 고시문에서 ‘유아’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 및 ‘유아’와 동시 출현하는 키워드의 빈도를 확인하고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생활’, ‘발달’ 등의 키워드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유아-발달’, ‘유아-생활’, ‘교사-유아’ 순으로 동시출현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에서 형상화 하는 ‘발달하는 유아’의 담론적 의미를 도출하는 한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발달주의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포스트휴먼 어린이(~어린이~)’로의 ‘유아’의 재형상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legal document which is publicly available, strongly influences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interpret the terminology used in reference to young children, which is the premi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sentences containing “young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the current curriculum.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solution, the frequency of keywords was check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keywords that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young child(ren)” were check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keywords that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young child(ren)”. The information was visualized through a word tree, word cloud, and ego network. Based on this, the keyword frequency was found to be high for “education”, “life”, and “development”. Furthermore, “young child-development”, “young child-life”, and “teacher-young child” showed the highest co-occurrence frequency, in that order. Subsequently, the researcher critically discussed the developmentalist perspective on the term “young child”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refiguring it into a “post-human child(~chi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의 형상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