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이용수 50
- 영문명
-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mong clusters of changes in preschooler peer rejec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유림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65~1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을 도출하고 예측변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3-5세 유아의 또래거부를 반복 측정하고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하위유형을 선별하고, 자기조절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높은 또래거부지속 집단, 또래거부감소 집단과 낮은 또래거부지속 집단을 포함한 3개의 하위유형이 선별되었으며, ADHD 성향과 위축성 및 언어능력이 군집유형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높은 또래거부지속 집단은 자기조절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속적으로 또래거부를 경험하는 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clusters in changes of peer rejection for preschool children. Furthermore the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mong the clusters were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children three to five years old and peer rejection was measured using peer nominations. Aggression withdrawal ADHD, and self-regula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teacher ratings. Three distinct clusters were identified a continuously high rejected group, a decreasing group, and a continuously low rejected group. ADHD, withdrawal and language ability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the three clusters. Moreov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mong the three clus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terven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eschool children who are continuously rejected by pe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