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2
- 영문명
-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with tools on self-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s of 2-year-old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정 이성희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2세 영아의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2세 영아를 연구 대상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 총 1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의 영아에게는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16회 진행하였고, 동일 시간에 통제집단 영아에게는 놀이터의 복합놀이시설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실험처치를 시작하기 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 점수와 실험처치가 끝난 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 점수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통제집단의 영아보다 자기 조절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또래 상호작용의 전체 결과는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통해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통제집단의 영아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hysical activity with tools can provide a chance for infants to enhance their self-regulation and develop their socialization skills through peer intera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with tools on the self-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s of 2-year-old infant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f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with tools, exhibited greater improvements in self-regul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control group; and 2) overall, the use of tools improved their peer interaction skills. In short, physical activity with tools allows infants to recognize their own emotions naturally, take interest in others' feelings, and improve their self-regulation when problem-solv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 영아-교사 놀이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민감성, 영아-교사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거부의 변화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와 군집별 예측변인 및 자기조절의 차이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