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공통핵심기준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성취기준 개선 연구

이용수 132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Reading Achievement Standards by Comparison with the CCSS of United Stat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한경임(Han, Kyung-Im) 강명숙(Kang, Myeong-Sook)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성취기준과 미국의 CCSS 읽기 기준을 비교하고,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성취기준의 실태와 개선 방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와 CCSS 언어와 문해력의 구성 체제를 비교‧분석하고, 분석 준거와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읽기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과 자료 분석 과정에서 모든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고 연구윤리를 준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는 언어 사용 기능에 초점을 두고, CCSS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계적인 측면에서 문해력을 강조하고 있었다. 둘째,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계속성이 확보되지 않고 단절된 부분이 많았으나, CCSS 읽기 기준은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상급학교까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대학, 직업, 인생의 성공’을 위해 각 학년별・단계별로 유기적으로 진술되어 있었다. 셋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른 분석 결과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의 ‘이해하다’와 ‘기억하다’의 특정 범주에 편중되어 진술된 반면, CCSS 읽기 기준은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의 범주까지 다양한 차원으로 진술되어 있었다. 넷째, 특수교사들은 읽기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학년 간 계열성이 유지되면서 교수목표 설정과 평가가 가능한 구체적인 성취기준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읽기에 제공되기를 요구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성취기준 개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improvement plan of the 2015 Basic Curriculum Reading Achievement Standards(BCRAS)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analysis between 2015 Basic Curriculum Read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of United States and interview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study was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was to compare reading achievement standards between BCRAS and CCSS through document research. The second was to find improvement plan of BCRA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FGI were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process of interview and data analysis, research ethics was preserved by agreement of all participants. Results: First, BCRAS focused on language functions on the other hand CCSS reading emphasized reading ability focused on literac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ccording to Bloom s new educational goal classification system, BCRAS focused on the specific categories of understanding and remember , but CCSS reading had ranged variously from realistic knowledge , conceptual knowledge to remember , analysis and meta-cognitive knowledge .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ggested the change of BCRAS by including definite and suitable standards considering literacy and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st of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reading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미국의 언어와 문해력 공통핵심기준(CCSS)의 체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임(Han, Kyung-Im),강명숙(Kang, Myeong-Sook). (2022).미국 공통핵심기준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성취기준 개선 연구. 교육혁신연구, 32 (1), 1-30

MLA

한경임(Han, Kyung-Im),강명숙(Kang, Myeong-Sook). "미국 공통핵심기준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성취기준 개선 연구." 교육혁신연구, 32.1(2022):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