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이용수 1607
- 영문명
-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현경(Lee, Hyun Kyung) 조춘범(Cho, Choon Bum) 이현(Lee, Hyun)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대상에게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효과는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확인 및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에서는 유사 실험연구인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를 활용하였다. 참여자들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경증치매노인으로서 경증치매환자의 판단은 장기요양등급 판정기준을 참고하여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까지를 포함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사후적 통계적 통제를 위해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하는 공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치매로 인해 저하되었던 인지기능의 증진 효과가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사전점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실험집단의 인지기능의 사후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부정적 정신건강인 우울의 감소 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전반적 삶의 태도인 생활만족도의 증진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경증치매노인이 타 수준의 치매노인에 비해 지니는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적 수준과 표현력을 고려하였을 때 인지기능을 보존 및 회복하고 정서의 정화를 통한 정신건강을 보호하는 역할과 삶의 질 증진의 면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치매환자 가운데 소외받았던 경증치매노인의 사회복지 대상으로서의 의의를 확인하고 치매단계 초기에 선제적인 개입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program o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examined to verify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between pre and post test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ar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have similar living conditions or economic standards and are currently using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0 final experimental groups and 9 control groups.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by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romoting cognitive function that was deteriorated due to dementia was ver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s. Secon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was verified in 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s. Third, the effect of promoting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in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re useful in preserving and restoring cognitive function, protecting mental health through emotional purifi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 discove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who were marginalized among dementia patients and to confirm the proactive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early stage of dement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