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이용수 212
- 영문명
- Changes in Pre-School Teachers’ Thinking on Picture Books after Applications of the Non-Curricular Curriculum Centered o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Kim, Ji Young) 윤진주(Youn, Jin Ju)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19~1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G광역시 4년제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13명의 예비교사이며, 이들에게 10회의 ‘글과 그림읽기를 통해 그림책 경험하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은유적 질문지와 그림 그리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경험하기 전에 주로 그림책을 지식 형성의 도구적 수단으로 인식하였으나, 이후에는 사고와 사유의 원동력이라는 문학 자체의 본질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방향으로 생각이 변화되었다. 둘째, 주인공 중심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둔 서사 이해 방식에 초점을 두었으나, 이후에는 그림책의 모든 구성 요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차원에서 그림책에서 발산되는 무한한 잠재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방향으로 생각이 변화되었다. 셋째, 그림책은 유아를 위한 전유물에서 성인 독자에게도 유용한 경험을 주는 매체라고 생각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문학적 소양과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그림책 관련 비교과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운영되길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e-school teachers thinking about picture book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non-curriculum centered on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are 13 preschool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he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G-Metropolitan City. The program of experiencing picture books through reading texts and pictures was conducted for them 10 times. As research tools, a metaphorical questionnaire and a drawing method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pre-school teachers mainly recognized picture books as a tool for knowledge formation before experienc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ut after that, they considered the intrinsic value of literature itself as a driving force for thinking and thinking as important. Second, it is a narrative understanding method that focuses on solving problems centered on the main character, mainly focusing on the plot, but after that, the limitless potential emanating from the picture book itself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ll the components of the picture book and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Third, I came to have an opinion on ‘picture books that adults can also share in the future from exclusives for toddl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non-curricular programs related to picture books will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enhance the broad understanding of picture books, literary literacy and competence of pre-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