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10
- 영문명
- The Effect o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ttitude and Recognition and Reward of Baby Boomers to Social Integration: Mediating Effects of Retention Will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하예진(Lee, Ha Yae Jin)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61~1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베이비붐 세대 자원봉사활동의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은 사회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의지를 매개하여 사회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의지는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 및 인정보상과 사회통합감 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통합감을 높이는 방안으로 첫째, 베이비붐 세대 자원봉사단 등을 통해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참여태도를 가질 수 있는 방안, 둘째, 적절한 지지와 교육, 유형의 인정보상 등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셋째, 타 연령층 자원봉사단과 교류 및 희망업무 배치 등을 통한 지속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to examine i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ttitude and recognition and reward influence social integration and examine moderated effect of retention will in this connec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to baby boomers volunteers living in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participation attitude and recognition and reward influence on social integration. Also, volunteering participation attitude and recognition and reward meditate retention will have an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integration. As a result, retention will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volunteering participation attitude, recognition, reward and social integr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getting active and self-leading participation attitude through volunteers of baby boomers, second, how to maintain proper support, education and type of recognition and reward, third, how to make retention will higher through exchange between volunteers from other generations and arrangement from prefer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