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65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of Sexual Violence Counselor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진(Jo, Youn Jin) 임성옥(Lim, Sung Ok)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83~2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 상황과 맥락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 전문상담사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대리외상을 경험한 것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피해자가 있던 사건 현장에 자신이 있는 것 같은 침투적 이미지와 이로 인해 신체적인 호흡곤란, 손 떨림, 소리 지르기와 같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집에서도 혼자 있는 것을 무서워했고,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무력감과 무기력, 피로감 등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공공장소에서도 안전감을 느끼지 못하고 범죄 노출에 대한 불안을 떠올리는 등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피해자의 충동적인 자살생각으로 인한 두려움과 압박감 등 심리적 위기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 전문상담사가 자신에게 일어난 외상을 대리외상으로 인한 것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개인 문제로 이해하여 대리외상 치유와 성장의 노력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신에게 일어난 대리외상을 상처로 인지하지 못하고 개인적 차원으로 접근한 상담사는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을 통해 인간에 대한 신뢰를 재획득하고 대리외상 상처를 피해자 치료 자원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of sexual violence counselors, and data are collected by narr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analyzed the experienc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pecifically revealed that a counselor specializing in sexual violence experienced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icarious trauma. She experienced a penetrating image that seemed to be confident in the scene of the victim’s incident and symptoms of physicalization such as physical dyspnea, hand tremor, and screaming. And she was afraid of being alone in his own house, and suffered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helplessness, lethargy, and fatigue to the extent that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daily life. It was found that he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such as not feeling safe even in public places and recalling anxiety about exposure to crim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a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such as fear and pressure caused by the victim’s impulsive suicidal thought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a sexual violence counselor did not recognize that the trauma that occurred to him was due to surrogate trauma and understood it as a personal problem and made efforts to heal and grow surrogate trauma. It was found that the counselor, who did not recognize the vicarious trauma that occurred to him as a wound and understood it at a personal level, re-acquired trust in humans through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used it as a victim treatment resour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mad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