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이용수 714
- 영문명
- Formation of Narrative Identity and Development of Healthy Narcissism through Narrative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일(Choi, Jong Il)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205~2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왜곡된 정체성을 지닌 이들이 이야기치료로 치유되고 건강한 자기애의 발달을 경험하도록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정체성과 자기애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가 직접 개입한 이야기치료 사례를 통하여 사례별로 드러난 참여자의 왜곡된 정체성과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대안적 정체성 이야기들을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연구 시기는 2016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약 1년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파주시 소재의 심리센터를 내원한 30∼50대 성인 남녀로 성인 남자 3명, 성인 여자 3명이었다. 사례선정은 센터의 규정에 따라 최소 10회기에서 최대 15회기까지 진행한 사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면서 자기애 발달이 함께 정지된 참여자들이 이야기치료 개입을 통해 치유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센터를 내원한 성인들이 경험한 왜곡된 정체성과 자기애 발달이 정지되었음에도 자신들이 소유한 다양한 자원과 탄력성 및 기본 자질들을 발견함으로써 자신의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를 재발달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ose who have distorted self-identity to get healed by virtue of the narrative therapy and to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desirable narcissism. To this end, the researcher had a theoretical review of self-identity and narcissism. And then, based on the narrative therapy cases in which the researcher was directly involved, participants’ distorted self-identity disclosed by case and alternative self-identity stories found in the process of study have been categorized by theme. Participants for the case stud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of nearly 1 year and 6 months from January, 2016 to July, 2017. Of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50s who visited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Paju-si, 3 adult men and 3 adult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Case selection, according to the center’s regulations, was made among cases that were continued up to 10th session at a minimum and 15th session at a maximum. This study, furthermore, as the narrative therapy was introduced, was committed to analysis and review of studies on the healing process of participants who had failed to form self-identity in a desirable manner during adolescence and had experienced the arrested development of narcissism. To sum up, this study aimed to create various opportunities for some adults who visited the counseling center, despite their experiences of distorted self-identity and arrested development of narcissism, to be able to achieve the formation of their narrative identity, as well as the redevelopment of healthy narcissism, by virtue of discovering diverse resources, resilience, and basic capabilities in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