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이용수 475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on Marital Intimac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정(Kim, Yun Joung) 양혜정(Yang, Hae Chung)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227~2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심리내적 변인인 자기성찰과 부부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결혼기간 30년 이하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자기성찰 척도, 부부갈등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은 연령, 학력, 결혼기간, 종교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원가족 분화경험은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부부관계 맥락에서 자기성찰의 역할과 원가족 분화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 및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기혼여성들에게 원가족에서의 정서경험과 자신과 배우자에 대해 깊이 이해하도록 하며 보다 적응적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을 증진하는 개입이 부부친밀감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married women with less than 30 years of marriag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2017)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rital intimacy perceived by married women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ir age, education, marriage duration, and religious status, and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rital intimacy. Further,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self-reflection in the context of marital relationships, which have rarely been studied, and found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ventions promote deep understandings of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their spouses and themselv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ore adaptive conflict coping behaviors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their marital intima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