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이용수 186
-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es and Effect of Changes on the Happine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성유경(Seong, Yu Kyeong) 염동문(Yeum, Dong Moon)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39~1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예측변인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1차(2010년)부터 6차(2015년)까지의 데이터에서 초⋅중학생 2,057명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LPGA)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의 변화유형은 3집단으로 나타나‘상층_행복감소집단’, ‘행복유지집단’, ‘하층_행복증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상층_행복감소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고 행복유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개인요인에서는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학교요인에서는 교우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상층_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상층_행복감소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고 하층_행복증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학교요인에서는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상층_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지만, 개인요인과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유의한 변인이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happiness chang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 relation with predicting variables by type. To this end, 2,05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the first(2010) to sixth(2015)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analysis method is applied with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LPG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happiness change were named Happiness Reduction Group , Happiness Maintenance Group and Happiness Increase Group . Second, when comparing Happiness Reduction Group, as a reference group, with Happiness Maintenance Group, the worse the health condition in the individual factor, and the worse the friendship relationship in the school facto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Happiness Reducti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ble in the community factor. When comparing Happiness Reduction Group, as a reference group, with Happiness Increase Group, the worse the learning activity and friendship in the school facto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Happiness Reduction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derived in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 간호사의 성인애착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정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 적용 이후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 연구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와 인정보상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