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북한 춘향전 영화를 통해 본 <춘향전>의 국민문학적 의미

이용수 23

영문명
The Meaning of Tradition and National literature embodied in Movies Chunhayngjun of South and North Korea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노지승(Roh Jiseu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4호, 115~1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까지 춘향전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18편이 제작되었지만 일부 영화들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장면화와 플롯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춘향전 영화가 비슷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제작된 이유와 이 영화들이 흥행할 수 있었던 사회적 조건을 밝힘으로써 원작 춘향전이 국민문학으로서 갖는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식민지 시기 무성영화 <춘향전>은 일본인에 의해 연출되었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1920년대 국민문학 담론이 본격화되는 상황 및 국민문학의 표준화라는 당대 문화계의 아젠다와 관련이 있었다. 1930년대에 제작된 토키 영화 춘향전 또한 자유연애 담론의 지지를 받아 신학문 교육을 받지 않은 관객에서부터 지식인 관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 해방 이후, 1955년 <춘향전>과 1961년 두 편의 영화인 <춘향전>과 <성춘향>은 국민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즉 한국적인 것을 구성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제작되었는데 모두 장면화와 시각화에 있어서 식민지 시기에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을 참조한 흔적이 엿보인다. 북한에서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 역시 등장인물들의 형상화와 장면화를 일부 사회주의적 이념에 맞게 수정, 변형시켰지만 기본적으로 식민지 시기부터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의 익숙한 장면화를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근대화 이후 혁신과 변화를 추구해왔던 한국 사회에서, 춘향전 영화들은 전통에 대한 페티시즘이라고 불릴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하게 정형화되어 제작되어 왔다. 즉 해방 후 남북한 춘향전 영화들은 예술 작품으로서의 혁신과 새로움보다는, 익숙함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특징은 춘향전 영화의 특별한 관객성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그 만큼 춘향전 영화들은 매우 독특한 관객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관객들에게 춘향전 영화의 관람은 안정적인 소속감 혹은 공동체적 정체성을 확인하게 하는 의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The movies based on the novels Chunhyangjun(春香傳) has been produced 18 times so far. Nevertheless, most of them have very similar mise-en-Scène and plots of original novel Chunhyangjun. This paper argues the social condition and spectatorship that made those movies box office success. The first silent movie Chunhyangjun, in spite of being directed by a Japanese director, were received in the social atmosphere of national literature discourse and were involved with the agenda of standardizing premodern novels. Talkie Chunhyangjun of 1935 were supported by discourses of romantic free love and attracted attention of widely various audience from intellectuals to lower class audience. In the late 1950s, after Korean war, several movies Chunhyangjun were made again at the atmosphere of searching cultural identity of nation state and national tradition. Especially, Chunhyangjun of 1955 and two movies Chunhyangjun of 1961 bears the marks of referring to previous movies as far as can be called fetishism of patterned tradition. In movies Chunhayngjun of North Korea, the characters and mise-en-Scène were adjusted partially to socialism. However, it was not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movies made in colonial period. Movies Chunhyangjun after liberation and division of Korea, was made not pursuing innovation and newness but familiarity.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he audience of Movies Chunhyangjun had very special spectatorship to feel a sense of communal spirit by watching Movies Chunhyangjun.

목차

1. 춘향전 영화는 왜 반복되었는가
2. 춘향전 영화와 시각적 표준화
3. 시각적 페티시즘으로서의 전통
4. 60년대 이후 남북한 춘향전 영화의 동질성
5. 춘향전과 국민문학의 자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지승(Roh Jiseung). (2016).남북한 춘향전 영화를 통해 본 <춘향전>의 국민문학적 의미. 국문학연구, (34), 115-146

MLA

노지승(Roh Jiseung). "남북한 춘향전 영화를 통해 본 <춘향전>의 국민문학적 의미." 국문학연구, .34(2016): 11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