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문환(董文渙)과 조선 문인의 추회창화시(秋懷唱和詩) 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A Study on the ChuHoeChangWhaShi(秋懷唱和詩) of Dong Wenhuan and the Chosun literati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김려화(JIN LIHUA)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4호, 269~2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나라 관료 문인 동문환(董文渙)은 1861년에 추회시(秋懷詩) 8수를 지었다. 이에 대해 화답시를 지은 사람들 중에는 적지 않는 조선 문인이 있었는데, 그들은 이원명(李源命), 이용숙(李容肅), 박영보(朴永輔), 박봉빈(朴鳳彬), 임치학(林致學), 이상적(李尙迪), 조휘림(趙徽林), 김윤식(金允植), 변원규(卞元圭), 심영경(沈英慶)이다. 본고에서는 이들이 지은 작품을 ‘추회창화시’라고 부르기로 한다. 동문환의 추회시 중 첫 수는 ‘가을의 슬픔[悲秋]’을 토로하였으며 자연의 무상함을 통해 인생의 무상함을 연상시켰다. 조선 문인들의 화시는 창시와 같은 시적 소재를 형상화하거나 동일한 시어를 사용함으로써 공감을 표출하고 창시에 호응하였다. 임치학의 창시 같은 경우에는 용사(用事)를 통해 ‘비추’에 대한 공감을 승화시켰다. 동문환의 두 번째 추회시는 탈속적인 삶에 대한 지향을 드러냈는데 이 역시 조선 문인들의 공명을 불러일으켰다. 예를 들어 이원명은 창시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면서 용사를 통해 창시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였다. 조선 인사들의 화시는 동문환 창시의 ‘비추’ 정서에 맞춰 지은 것도 있지만 창시와 매우 다른, 새로운 면모를 지닌 ‘추회시’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새로운 면모의 추회시’는 주제의식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우정을 노래하는 ‘교우시(交友詩)’ 내지 ‘회우시(懷友詩)’ 계열이고, 다른 하나는 학문교류의 의지를 보여준 ‘자면시(自勉詩)’이다. 이상적은 벗과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과 옛 벗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는 회우시를 통해 가을의 슬픔을 표현하였다. 이원명의 시는 망년지교에 대한 갈구를 드러내 전형적인 교우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선 문인들은 창화를 통해 학문교류의 소망도 표출하였는데 특히 변원규는 네 번째 창시에 대한 차운시를 ‘자면시’로 구현하여 청나라 지식인과의 학문교류를 위한 준비된 자세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 경향의 ‘추회시’는 조선 문인들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특정된 회포를 읊은 시들이다. 이용숙의 국내외 시국을 우려하는 화시와 박영보의 모화 정서를 표출하는 화시가 그 대표적 작품이다. 조선 문인들의 추회창화시는 한시의 전통 주제인 ‘비추’의 정서를 대부분 계승하면서도 그들의 창안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내용을 한시 창작에 이입시킴으로써 한시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19세기 한시창작의 시대적 역량을 구축하였다. 또한 동문환과 조선 문인들의 추회창화시는 당시의 활발했던 국제교류의 구체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한․중 교류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Dong Wenhuan, a bureaucratic literati of the Qing Dynasty,wrote 8 poems about autumn recollections in 1861. In the serial versifying to the poems,there are 10 Chosun literati’s works.In this paper, it called ChuHoeChangWhaShi(秋懷唱和詩) . The Chosun literati were Lee Wonmyeong, Lee Yongsuk, Park Yeongbo, Park Bongbin, Lym Chihak, Lee Sangjeok, Joe Hwirim, Kim Yunsik, Byoun Wongyu, Shim Yeonggyeong etc. Dong Wenhuan’s first poem expressed the motif of lamentation for autumn. The uncertainty of nature in this poem carried over to the uncertainty of life. Chosun literati’s ChuHoeChangWhaShi expressed the responsive chord by chanting the same material or using the same words as Dong Wenhuan’s first poem. For classic example, Lym Chihak’s work sublimated resonance on autumnal lamentation by using allusion. Dong Wenhuan s second ChuHoeChangWhaShi tended to otherworldly mind. And this inclination also got resonance from the Chosun literati.For example, Lee Wonmyeong s poem was expressed the responsive chord by using the same words and chanting the same material as Dong Wenhuan s second poem.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t features in the Chosun literati s ChuHoeChangWhaShi from Dong Wenhuan s. This kind of the pome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one is making friend poetry and missing friend poetry. The second poetry can be called ‘exert oneself pome’ which showed desire of academic exchange. The third one was chanted special feelings about autumn according to personal creation of Chosun literati. Chosun literati’s ChuHoeChangWhaShi not only inherited autumnal lamentation of the traditional poetry, but also showed innovative features. They introduced new content into the ancient poetry creation in the new era. Chosun literati and Dong Wenhuan’s ChuHoeChangWhaShi not only played a historical role in ancient poetry creation of 19th century, but also showed us the communion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at period, which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e Korean-Chinese literature communication in the 19th century.

목차

1. 서론
2. ‘비추(悲秋)’의 공명을 일으킨 동문환의 창시(唱詩)
3. ‘추회(秋懷)’ 신의(新意)를 표출한 조선문인의 화시(和詩)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려화(JIN LIHUA). (2016).동문환(董文渙)과 조선 문인의 추회창화시(秋懷唱和詩) 연구. 국문학연구, (34), 269-295

MLA

김려화(JIN LIHUA). "동문환(董文渙)과 조선 문인의 추회창화시(秋懷唱和詩) 연구." 국문학연구, .34(2016): 269-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