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 · 졸업생들의 국내 항일운동 - 3.1운동 참여 학생들의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이용수 195

영문명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yungsung Medical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상태(Kim, Sang-tae)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7권, 343~38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민족자결주의, 파리강화회의의 개최, 2.8독립선언 등에 영향을 받은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들은 3.1운동 당시 서울의 1차, 2차 시위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런데헌병, 경찰의 경계가 강화되고 학교들이 휴교에 들어가면서 3차 시위는 불가능해졌다. 이때 경성의전 학생 김범수는 전남 장성과 광주에서, 양봉근은 부산 구포에서 만세시위에 관여하였다. 이들의 활약은 3.1운동을 전국적인 독립운동, 거족적인 독립운동으로 폭발시킨 동력이 되었다. 또한 허정묵과 김상우는 일제의 식민통치의 실상과 본질, 해외 독립운동 소식 등을 담은 ‘지하신문’의 배포활동을 벌였다. 3.1운동 직후 국내에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연계된 비밀 독립운동단체들이 결성되었는데, 3.1운동에 참여하였던 경성의전 학생들도 이들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이의경은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의 편집부장을 맡아 언론활동을 벌였고, 김영철은 대동단의 인쇄물 배포를 시도하였다. 나창헌은 대한민국청년외교단과 대동단에 모두 참여하여 이강공 국외 탈출 계획에 가담하였다. 3.1운동 직후 국내에서 의열투쟁도 활발하였다. 이때 재학생 오태영은 강우규 의사의 은신과 비밀연락을 지원하였고, 졸업생 허영조는 부산에서 개원 중 의열단 단원의 요청을 받고 독립운동자금 모금활동을 벌였다. 1920년대 초반 서울에서는 학생단체 ‘조선학생대회’가 창립되었다. 경성의전 학생인 이필근, 장세구, 이강은 제2기 지도부에 참여하였고, 특히 3.1운동에 참여하였던 장세구, 이강, 이동영, 양봉근, 허정묵 등은 하기 지방순회강연단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그들은 강연에서 식민지 현실의 전반을 다루었으며, 민족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편 1921년 경성의전 학내에서 일본인 교수의 망언으로 인해 항일 학생운동이 일어났다. 이때 양봉근, 장세구, 전진극, 이동영 등 3.1운동 참여 경력의 소유자들이 동맹휴업을 주도하였다. 이 사건은 경성의전 학생들의 민족문제에 대한 고민과 사상이 심화되고, 졸업 후 의사 신분으로 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 후반 3.1운동 참여 경력이 있는 경성의전 졸업생, 중퇴생들은 신간회 본부 또는 지회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조선공산당의 핵심인물이 된 한위건은 신간회 창립준비위원, 신간회 간사로 활동하였다. 김탁원은 신간회 경성지회, 최경하는 목포지회, 정인철은 재령지회, 이강은 북청지회의 간부가 되어 민족연합전선을 위해, 지역사회의 현안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양봉근은 신간회 울산지회장과 신간회 본부의 검사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1931년 5월 신간회 해체 후 만보산사건과 일제의 만주침략으로 만주동포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었다. 이때 김탁원은 1932년 1월 특사로서 만주의 수용소들을 방문하여 동포들을 치료하고, 서울에 돌아와 현지의 실정을 보고하였다. 1931년 12월 의료인들과 각계각층의 지도층 인사들이 ‘보건운동사’를 설립하고 주로 농민, 노동자, 빈민들을 대상으로 보건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때 양봉근을 필두로 김탁원, 유상규 등 경성의전 졸업생들이 보건운동을 주도하였다. 결국 3.1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던 경성의전 학생들은 1919년부터 193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전개되었던 모든 유형의 항일운동에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fluenced by nationalism, the hosting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Kyungsung Medical School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demonstrations in Seoul during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third demonstration became impossible as police and military police were on heightened alert and schools closed down. Kim Beom-soo was involved in the demonstrations in Jangseong and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and Yang Bong-geun in Gupo, Busan. Their performance contributed to the explosion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s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ome students, such as Huh Jung-mook and Kim Sang-woo, distributed “Jihangmun,” which contains the facts of Japan’s colonial rule, the essence of the 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broad. Soon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 group of secret independence activists link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formed in Korea, and students of Gyeongseongjeon joined the group. Lee Eui-kyung was the editor-in-chief of the Korean Youth Diplomatic Corps, and Kim Young-chul attempted to distribute the printed materials of the Daedongdan. Na Chang-hun joined both the Korean Youth Diplomatic Corps and the Daedongdan to participate in Lee Kang-gong’s escape plan. Righ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re were also intense protests at home and abroad. Oh Tae-young supported Kang Woo-kyu’s hideout and secret contacts, and Heo Young-jo raised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request of Kang Hong-ryeol, a member of the medical troupe, while opening in Busan. In the early 1920s, a student organization called ‘Chosun Students’ was founded in Seoul. Kyungsungjeon students Lee Pil-geun, Jang Se-gu and Lee Kang participated in the second leadership, while Jang Se-gu, Lee Kang, Lee Dong-young, Yang Bong-geun and Huh Jung-mook played a great part in the local lecture group. Their lecture covered the whole of colonial reality and gave directions for our people. Meanwhile, the student movement against Japan was launched in 1921 by a Japanese professor, Gu Bo, at the Kyungsungjeon School. Yang Bong-geun, Jang Se-gu, Jun Jin-geuk and Lee Dong-young led the strike. The incident served as a chance for Gyeongseongjeon students to express their deep concern and thoughts about national issues,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ational movement as doctors after graduation. Graduates of Kyungsungjeon in the late 1920s, dropouts served as new association headquarters or executive branch officials. Han Yu-gun, who became a key figure of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served as a founding preparatory committee member of the new association and a secretary of the new association. Kim Tak-won became an official of the Gyeongseong branch of the new association, Choi Kyung-ha of Mokpo branch, Jeong In-chol of the second branch of the Joseon Dynasty, and Lee Kang, a senior official of the Bukcheong branch, made efforts to resolve pending issues in the community for the national united front. Yang Bong-geun also headed the Ulsan branch of the association and the inspection committee of the new headquarters.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new association in May 1931, the Manbo Mountain incident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Manchuria made the issue of Manchuria an issue. In January 1932, Kim Tak-won visited the concentration camps in Manchuria to treat his compatriots, and returned to Seoul to report on the situation there. In December 1931, medical workers and leaders from all walks of life established ‘health activists’ and conducted health campaigns mainly for farmers, workers and the poor. With Yang Bong-geun at the center, graduates of Kyungsungjeon, includin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울 · 지방의 3.1운동 참여
Ⅲ. 3.1운동 직후 독립운동단체 참여와 의열투쟁 지원
Ⅳ. 1920년대 항일 학생운동 주도와 신간회 참여
Ⅴ. 1930년대 초반 만주동포 지원활동과 보건운동 주도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태(Kim, Sang-tae). (2019).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 · 졸업생들의 국내 항일운동 - 3.1운동 참여 학생들의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동국사학, 67 , 343-383

MLA

김상태(Kim, Sang-tae).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 · 졸업생들의 국내 항일운동 - 3.1운동 참여 학생들의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동국사학, 67.(2019): 343-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