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경 계립령의 신라말· 고려시대 석불에 대한 고찰

이용수 323

영문명
Late Silla-Goryeo Rock-Cut and Stone Buddhist Images Located along the Mountain Pass of Geripryeong at Mungyeong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성은(Choe, Songeun)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7권, 205~24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경 일대에 펼쳐진 계립령은 고대부터 소백산맥의 남북을 잇는 주요 교통로였고 이곳에 전해오는 많은 석불 · 마애불들은 고대로부터 여행자들이 숙박하고 예배하는 도량으로서의 불교사원이 그 일대에 활발하게 경영되었음을 말해준다. 계립령로 주변에 전해오는 석불과 마애불상들은 약사불과 미륵존상이 많은데, 본고에서 살펴보는 여섯 구의 불상들과 석조광배 한 점 가운데, 미륵암지 마애미륵여래좌상과 미면사지 광배를 제외하고 대부분 신라하대에서 고려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나말여초기에 들어 계립령로를 통한 남북간 이동이 빈번해지면서 문화적 주요 통로로서의 역할을 크게 하였음을 말해준다. 불상들은 신라지역 고식(古式)의 도상을 충실하게 계승한 상과 나말여초기의새로운 도상이 반영된 상들이 공존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까지 삼국시대 신라 불상들이 여전히 제자리에 있었을 경북 북부의 안동, 봉화지역과 지리적으로 연결되어 그 지역 고식의 전통이 문경지역에 전해 내려올 수 있었고, 동시에 교통의 요충지인 이곳에 당말오대의 새로운 불교미술의 요소가 전해질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이것은 계립령 일대의 사찰들이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해 있었던 점과 관련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변 교통로를 따라 계립령의 하늘재 남북으로 불상양식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충주 미륵대원 석굴의 소형석조여래좌상이 문경 갈평리사지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착의양식과 옷주름의 표현 등에서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이런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문경 대승사 미륵암지 마애미륵여래좌상은 법상종이 크게 유행했던 고려중기의 불상인데 중앙지역의 여러 법상종 사찰에도 오늘날 전하지 않는 대형 미륵불상이다. 이 지역에 법상종의 주존인 미륵존상이 조성될 수 있었던 것은 교통로상에 위치한 문경지역의 지리적 위치로 인해 중앙 불교계의 움직임을 빨리 수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From the ancient period, the mountain pass of Geripryong(鷄立嶺) located in the present-day Mungyeong(聞慶) region was one of the main traffic routes connecting the southeastern and the northwest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North Gyeongsang province to North Chungcheong and Gyeonggi province. A number of rock-cut and Buddhist images in this area reveal that many Buddhist temples were run as chapels and places of lodging for travelers. A number of extant rock-cut and stone Buddhist images along the mountain pass of Geripryeong can be dated to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with the exception of the rock-cut seated Maitreya Buddha Image of Mireuk-am site(彌勒庵址) and the stone halo unearthed from the Mimyon-sa site(米麵寺址), for they share stylistic characteristics with a few late Silla and early Goryeo images of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The images along the mountain pass of Geripryeong show both the traditional, conservative iconography passed down in Silla, and new iconography that was introduced from the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 of the tenth century. Evidence of new iconography in the images indicate that there was geographical access to the northern part of Silla, such as Andong and Bonghwa area where ancient Silla Buddhist temp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most likely still extant, as well as the advantage of traffic routes through which new cultural sources were easily accepted. The rock-cut and stone images at Geripryeong are mostly Bhaisajyaguru and Maitreya, which prevailed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Among various Buddhist trends of religious worship, the cult of Bhaisajyaguru and Maitreya had been very popular from the ancient period. It is therefore assumed that people traveling through the mountain pass were familiar with this worship and prayed for the welfare and the safety of their journey.

목차

Ⅰ. 머리말
Ⅱ. 문경지역의 석불과 마애불
Ⅲ. 문경지역 석불의 미술사적 의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은(Choe, Songeun). (2019).문경 계립령의 신라말· 고려시대 석불에 대한 고찰. 동국사학, 67 , 205-244

MLA

최성은(Choe, Songeun). "문경 계립령의 신라말· 고려시대 석불에 대한 고찰." 동국사학, 67.(2019): 205-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