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求貿를 통해서 본 조· 일간 물품교역의 현황과 특징

이용수 53

영문명
The Gumu(求貿)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e between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승민(Lee, Seung-min)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7권, 77~11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후기 ‘조선-쓰시마’로 연결되는 특수한 관계 내에서 이루어져 당시 조일관계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교역형태로 ‘求貿’라는 것이 있었다. 구무는 막부로부터 대조선외교와 무역에 관한 권한을 위임받은 쓰시마가 자국 내에서 특정 물품에 대한 불시의 필요가 발생해 이를 조선 측에 구해달라고 요청하면, 조선에서 이에 대 한 사안을 심의해 이루어지는 무역형태였다. 조선후기 구무의 전개양상은 조선후기 조일 국교재개와 함께 쓰시마로부터구무 요청이 시작되는 ‘태동기’, 1630년대 조일외교 및 무역체제의 정비에 따라 구무가 활성화되는 ‘활성기’, 조일양국 대외정책에 따른 조일관계의 변화와 무역의 변화·쇠퇴로 인해 쓰시마로부터 구무 요청이 감소되어 가는 ‘쇠퇴기’의 세 시기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품목별로는 약재류·금수류·과실류·문방구류·어패류·직물류·피물류·서적류·다기류·의복류·인적자원·악기류·기타에 이르기까지 수백여가지의 다양한 물품의 교역이 이루어졌다. 쓰시마의 구무 요청은 기본적으로는 쓰시마 내의 필요에서부터 시작된 것이었지만, 그러한 필요에는 쓰시마번주의 保身을 위한 대막부 교섭의 측면을 간과할 수 없었다. 쓰시마는 구무를 통해 조선에 요청한 물품을 참근교대 때 막부에 가져가 쇼군을 비롯한 막부 유력층에게 접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막부 내에서 자신의 입장을 세울 수 있었고, 또한 그들의 의뢰를 받아 필요한 물품을 대리자의 입장에서 다시 조선에 요청했다 이를 통해 쓰시마는 막부에게 자신이 조선과 교역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임을 부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에게는 조일관계의 대리자임을 내세움과 동시에 교린의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교역에서 지극한 편의를 얻고자 했다. 반대로 조선의 입장에서는 구무를 통한 교역은 일정한 정도 불편을 감수하는 것이었지만, 그럼에도 쓰시마의 계속된 구무 요청을 받아들인 것은 쓰시마를 매개로 형성된 간접통교체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왜란과 호란을 경험하고 대청관계가 변화하면서 조선에서는 북방의 안전을 우선시하게 되고 그 바탕에는 일본이라는 남변의 안전이 전제가 되어야 했다. 1635년 국서개작사건 이후 쓰시마번주가 막부로부터 대조선외교와 무역에 관한 독점권을 인정받고 외교체제가 정비되어 가면서 쓰시마는 조선정부와 일본막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중간자적 입장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조선에서는 초기의 왜구문제를 포함해 후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남변의 안전이라는 중요한 정책 목표를 세우면서 쓰시마를 매개로 형성된 일본과의 간접통교관계를 원활히 이끌어나가고자 했고,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써 구무를 허가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Tsushima’ and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a form of trade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Gumu(求貿) was a form of trade in which the Tsushima, which had been authorized by the Bakuhu for the rights of diplomatic relations and trade, asked Joseon to save certain goods because of an unexpected need in his country. The development process of Gumu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the embryonic stage’, when the request for Gumu is initiated from Tsushima along with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 ‘the active phase’, in which the Gumu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diplomatic and trade system in the 1630s, Third, ‘the decline period’ of requests for detention from Tsushima due to changes in diplomacy and trade following the foreign policy of both Joseon and Japan. Accordingly, the trade of hundreds of various items, ranging from medicinal stuffs, animals, fruits, writing utensils, fish and shellfishes, textiles, clothing, books, ceramics, human resources, and other items, was conducted. The Gumu request of Tsushima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need in Tsushima. But such a need cannot overlook the aspect of negotiation toward Bakuhu byTushima-Hanshu(對馬藩主). Tsushima was able to establish his position within Bakuhu by taking the goods he had traded with the Joseon at the time of Sankinkoutai(參勤交代) and using them for entertainment to Shougun(將軍) and others. Tsushima has also asked Joseon again for the goods they seek on behalf of their representatives at the request of Shougun and others. Through this, Tsushima was able to highlight to Bakuhu that he was the only one able to trade with Joseon, and sought to gain extreme convenience in trade by emphasizing that he was an agent for the Joseon Dynasty and a good-neighbor(交隣) 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from Joseon’s point of view, trade through the Gumu was a certain amount of inconvenience. Nevertheless, the acceptance of Tsushima’s continued requests for Gumu can be found in the indirect communication system formed by Tsushima’s medium. Joseon experienced two wars, Waeran(倭亂) and Horan(胡亂), respectively, and the relationship with Qing Dynasty(淸朝) changed, giving priority to the safety of the north. And based on that, the south safety of Japan had to be the premise. In 1635, however, an unprecedented adaptation case of state letter(國書改作事件) was revealed in Japan. With this in mind, Bakuhu dispatched diplomacy buddhist monk(外交僧), which directs and supervises diplomatic documents at Bakuhu level, to Iteian(以酊庵), while reorganizing the diplomatic system by granting the Tsushima-Hanshu as trade monopoly. Now Tsushima was able to clarify the position of the mediator, which plays a role of connecting the Joseon government with the Japanese Bakuhu. It is thought that Joseon wanted to smoothly lead indirect relations with Japan, which formed Tsushima as a medium, and authorized Gumu as a way of doing so, establishing an important policy goal of safety in the south even after the latter period, including the issue of Japanese pirates in Early Joseo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구무의 시기별 전개과정과 그 특징
Ⅲ. 주요 구무품의 교역현황과 그 특징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민(Lee, Seung-min). (2019).조선후기 求貿를 통해서 본 조· 일간 물품교역의 현황과 특징. 동국사학, 67 , 77-114

MLA

이승민(Lee, Seung-min). "조선후기 求貿를 통해서 본 조· 일간 물품교역의 현황과 특징." 동국사학, 67.(2019): 77-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