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九曜의 羅睺信仰으로 풀어본 신라 處容 - 처용을 보는 또 하나의 시선 -

이용수 122

영문명
Cheoyong, interpreted as a Navagraha’s Rahu -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Cheoyong -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진희(Jung, Jin-hee)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7권, 169~20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처용신앙과 인도 점성신앙인 구요의 라후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은 처용의 정체성을 모색하는데 또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처용이 신라에 당도하였던 879년은 중국 불교의 구요신앙이라 할 수 있는 치성광여래 신앙이 한반도로 전래된 9세기 중후반과 시간차가 크기 않다. 왕의 명령에 의해 불교식으로 천재지변을 해소하는 처용설화의 내용은 라후신앙의 渡來 이전 불교 치성광여래 신앙이 신라에 전래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실은 두 신앙이 비록 한반도로 전파된 경로는 달랐지만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려 준다. 고려 가사 <처용가>에는 직접적으로 처용을 라후라 지칭하고 口舌을 경계하며 돈을 태워 소재의식을 치르라는 의미를 내포한 구절이 있다. 이슬람 점성신앙의 특징을 보여주는 신라 처용에 비해 고려 가사의 처용은 불교 경전에 소개된 라후와 유사한 성격을 나타낸다. 이는 소재도량이 성행하였던 고려시대는 불교의 라후 소재법이 대중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악학궤범>에서 처용무 후반에 불보살을 소청하는 부분이 삽입된 이유 역시 사라진 고려 소재도량의 잔재로 사료된다. 그리고 조선후기 민속놀이인 제웅치기도 불교에서 구요가 사라진 이후 민간의 세시풍습으로 전승된 처용신앙의 흔적이다. 한반도의 구요는 시대를 따라 전승되는 과정에서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처용의 전설과 전승기록을 통해 구요는 세월의 흐름에 적응하며 또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여 신앙의 명맥을 잇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처용의 정체성에 대한 또 하나의 시선으로 서역 점성신앙인 구요의 라후를 통해 처용설화를 풀이하였다. 이를 통해 918년 후고구려 동주 발삽사에 있던 치성광여래와 구요 소상의 존재와 924년 왕건에 의해 구요당이 창건되어진 사회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er of navagraha faith‘s Rahu to Korea through the legend and the record of Cheoyong. Rahu is one of nine stars in India’s navagraha religion(九曜信仰). Rahu makes the solar eclipse. Cheoyong resembles Rahu’s ability to create fog and heal the Measles. The year 879, when Cheoyong came to Silla, is similar to the time when the religion was Tejaprabha Buddha Fait introduced in China. The contents of the story to solve the problem in the Buddhist way by the command of the k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was a Tejaprabha Buddha Fait before Cheoyong came to Silla. In the year when Cheoyong came to Silla, Muslims fled to China to escape the war of Wangso(黃巢之亂). This fact indicates that Cheoyong has relations with the astrologers of the Gentiles who came to Korea in the late 9th centur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avagraha religion disappears from the process of passing along the age. However, through the legend and the record of Cheyung introduced to the Korean shows another aspect of navagraha fa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data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record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the existence of Tejaprabha Buddha sculpture of later Goguryeo at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the Guyodang(九曜堂).

목차

Ⅰ. 머리말
Ⅱ. 인도 구요신앙의 라후
Ⅲ. 처용의 설화와 전승기록
Ⅳ. 九曜의 羅睺信仰으로 풀어본 신라의 處容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희(Jung, Jin-hee). (2019).九曜의 羅睺信仰으로 풀어본 신라 處容 - 처용을 보는 또 하나의 시선 -. 동국사학, 67 , 169-203

MLA

정진희(Jung, Jin-hee). "九曜의 羅睺信仰으로 풀어본 신라 處容 - 처용을 보는 또 하나의 시선 -." 동국사학, 67.(2019): 169-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