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交易品으로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 中國 先秦時代를 중심으로 -

이용수 26

영문명
Socio-Economic Indicators of Pigments as Trading Goods - Focusing on the Xianqin Period of China -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金炳模(Kim, Byoung-Mo)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7권, 5~3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료의 향유와 소유가 사회경제적으로 어떤 상관성을 갖고 연계되는지 연계 지점에 관한 다양한 담론을 제시함으로써 교역품으로서의 안료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경계에서 논의해갈 수 있는 토대 및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검토 결과 신석기시대에 이미 안료의 소유 및 사용은 일정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확보한 경우에 가능한 것으로, 특히 최상계층을 중심으로 안료 및 채색에 대한소유욕이 강하게 실현된 것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채도가 옥기의 희소성과 거의유사한 수준으로 인식되는 상황들도 출현시킨다. 이후 초기 청동기시대를 거쳐 상대에 진입하면서 계층간 안료 소유의 차별화가 더욱 심화되고 서주시대에도 그러한 양상을 거의 그대로 지속해간 것으로 파악된다. 춘추전국시대의 경우 신분적으로 士급 이하 계급에서는 채색문화의 향유가 쉽지 않았고, 경제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신분에 관계없이 채색문화의 적극적 향유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신분보다 경제력 문제가 채색문화의 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으로 기능한다. 이상의 내용은 신석기시대를 포함한 선진시대에 이미 교역품으로서의 안료의 사회경제적 지표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었음을 읽게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iverse discourses about the relation points, the correlations of pigments’ enjoyment and possession for society and economy. In addition, it intended to prepare foundation and opportunity to discuss about the awareness about pigments as trading product in new boundary. As a result of examination, possession and use of pigments were possible to secure a certain position of society and economy in the Neolithic era and especially, it’s grasped to realize a strong desire of ownership of pigments and coloring by focusing on the highest class. In addition, it’s confirmed to recognize chroma at the level similar nearly to scarcity of Jade period. And then, while entering Shang Dynasiy through the early Bronze Age, differentiation of pigments possession among classes became more deepened and in Western-Zhou period, the tendency was maintained as it was. In cas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classes less than the status of classical scholar had difficulties in enjoying coloring culture and if there is a problem in economic power, it was nearly impossible to enjoy coloring culture actively regardless of status. In other words, economic power rather than status was decisive factor making an effect on enjoyment of coloring culture. Due to the above contents, it’s expected to the socioeconomic indicators of pigments approached the high level as trading product in XianQin period including the Neolithic era.

목차

Ⅰ. 序論
Ⅱ. 新石器 社會에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Ⅲ. 初期 靑銅器 및 商代 社會에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Ⅳ. 周代 社會에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Ⅴ.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炳模(Kim, Byoung-Mo). (2019).交易品으로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 中國 先秦時代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67 , 5-39

MLA

金炳模(Kim, Byoung-Mo). "交易品으로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 中國 先秦時代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67.(2019): 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